오래전에는 금속 자체가 화폐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금속 중에서도 주로 금(gold)이 화폐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렇게 금속(gold) 자체가 화폐역할을 했던 것을 금속화폐 라고 합니다.
하지만, 금속화폐는 거래를 할때마다 일일이 모양과 무게를 측정하고 따져야 했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존재했습니다, 더불어 이러한 형태의 화폐를 칭량화폐(秤量貨幣) 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거래의 불편을 덜고 화폐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일정한 양의 금속과
일정한 모양으로 금속을 주조하기에 이릅니다. 이것이 바로 주조화폐(鑄造貨幣)입니다.
즉,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500원, 100원 동전처럼 크기와 모양과, 금속의 함유량을 일정하게 하여 화폐를 만든것입니다.
초창기 주조화폐에는 재료로 쓰인 금속의 가치와 화폐의 명목(액면)가치가 같았습니다. 다시말해
주조화폐가 금화(gold) 였다고 가정하고, 금화 액면에 100원 이라고 쓰여있었다면
그 금화를 만들기위해 사용된 금(gold)의 양 자체도 100원어치가 사용되었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주조화폐의 가치와 재료로 쓰인 소재가치가 등가(等價) 였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주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주조권한을 가진 왕과 봉건영주들은 비용을 줄여 큰 이익을 얻게됩니다.
금화를 만들때, 처음과는 달리 금(gold)의 함량을 줄이고, 다른 금속(철,은 등)을 섞어서 주조를 하게 됩니다.
즉, 주조이익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세뇨리지(seigniorage) 라고 합니다.
실제 로마시대에 사용되던 은화에는 은의 함유량이 고작 2%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이와같이
주조화폐는 시간이 흐르면서 명목가치에 비해 소재가치(금. 은 함유량)가 계속 떨어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흐름이 반복되면 시장에는 100% 금(gold)이 함유된 금화보다는 50%, 30%, 10% ...5% 처럼
금(gold) 함유량이 적은 화폐만 유통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16세기 영국의 재무관 그레샴(Gresham)은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Bad money drives out good)" 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 다시말해
시중에는 금(gold) 함유량이 매우 적은(5%, 10% 등) 정직하지 못한 금화(악화)가
순수한(정직한) 100% 금(gold)이 함유된 금화(양화)를 (시장에서)쫓아 버린다는 뜻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지폐는 국가의 법령에 의해 화폐의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사실 지폐의 재료를 살펴보면 대부분은 ‘노일(noil)’ 이라는 무명이나 양털 등의
길이가 짧은 섬유의 한 종류일 뿐입니다.(여기에 약간의 펄프와 혼합되고 화학처리가 됩니다.)
한마디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폐는 명목가치에 비해 소재가치는 거의 없는것과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단지 법에 의해 “너는 돈이다!” 라고 지불 능력이 부여된 ‘법화(法貨)’인 것입니다.
오늘날은 이렇게 지폐가 소재가치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도 유통되고 있지만, 19세기만 해도
소재가치가 없던 지폐라 할지라도 한동안은 화폐의 기본단위, 즉 본위(本位)를 금(gold)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요청이 있으면 언제든지 지폐와 일정량의(약속된 비율) 금을 교환해 주었습니다.
이것을 태환권(태환지폐) 이라고 하는데, 쉽게 얘기하면 철수라는 사람이 금(gold) 한덩어리를
은행의 금고에 보관합니다. 그러면 은행은 다음과 같은 증서를 철수에게 써줍니다.
"철수가 은행에 금 한덩어리를 맡겼다!
그래서 우리는 철수가 이 보관증을 가져오면 다시 금을 내어 줄 것이다!"
여기서 보관증은 지폐가 되는 것이고, 본위(本位)는 금(gold)한덩어리가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금본위제하에서 지폐(보관증)는 언제든지 금과 교환(태환)할수 있는 것입니다.
(현행 우리나라와 같은 관리통화제의 지폐는 태환할수 없는 불태환 지폐, 즉 불환지폐라 부릅니다.)
더불어 지폐(보관증)를 많이 유통시키려면(통화증가), 그 만큼 금(gold)의 양도 많이 늘어나야 합니다.
결국 금본위제에서 시중의 유동성(통화량)은 본위인 금(gold)의 양에 구속되어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가만히 보면 ‘지폐(보관증)’는 그 자체의 소재(재료)로서는 가치가 거의 없지만,
언제든지 금으로 교환가능하기 때문에, 초창기 100% 금으로 만든 주조화폐의 성격과 유사합니다.
하지만, 금(gold)이 늘어나야 시중의 통화량도 함께 늘어나는 금본위제같은 구속본위제와는 달리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에서 실행하고 있는 관리통화제도 같은 자유본위제하에서는
정부와 중앙은행이 마음만 먹는다면 돈을 시중에 마음대로 공급할수도 있습니다.(단순가정임!) ... 아무튼
시중의 통화량이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좌우될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발권과 통화공급 등에 있어서는 많은 절차와 제약이 따르게 됩니다. 하지만,
역시 자유본위제도에서는 돈은 늘어날수밖에 없습니다. ~ 물리적인 금(gold)의 양에 의해 돈을 공급하는 구조보다는,
사람의 머릿속에서 합의하에 도출된 계획으로 돈을 공급하는 구조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돈이 늘어나면 역시 문제는 인플레이션(inflation)입니다. 즉!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인데 ...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는 말은 오래전 남미의 소장사들 사이에서 처음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소를 팔러가는 상인이 소금으로 절인 마른풀을 미리 소에게 잔뜩 먹여서 시장으로 가는 도중에 물을 먹게하여,
소를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게 한 것을 인플레이션 이라 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인플레이션(inflation)이 통화량과 관련되어 등장한 것은 미국의 남북전쟁때 였습니다. 미국 정부가
전비조달을 위해 그린백(Green Backs) 이라는 불환지폐를 남발하게 되자, 그 상태가 마치
자루에 공기를 넣어 부풀린 것과 비슷하다고 하여 인플레이션 이라고 하였답니다. 그후 본격적으로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입니다.
전쟁으로 독일, 러시아,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에서는 엄청난 불환지폐를 발행하였는데, 그 결과
상상을 초월하는 물가상승이 발생하게 됩니다 ... 특히 독일은
한달에 최고 3만%에 가까운 물가상승(하이퍼인플레이션)이 일어났는데,
1923년 11월 당시 빵 1kg에 5200억 마르크, 육류 1kg에 4000억 마르크 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연히 사회는 혼란에 빠지고 민심은 분노 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치스(Nazis)가 탄생했는데,
이때 히틀러(Adolf Hitler)를 "인플레이션의 양자(養子)" 라고까지 부르게 됩니다. 더불어
독일뿐만 아니라 유럽의 여러 많은 나라들이 1차 세계대전의 전쟁비용 때문에 엄청난 돈을 발행했는데,
전쟁이 끝나자 독일의 화폐가치는 전쟁전에 비해 1조분의1로 폭락했고, 러시아는 500억분의 1,
폴란드는 180만분의 1로 폭락하였습니다. 이때 우스개 소리로 이런 얘기가 떠돌았습니다.
독일의 어느 형제가 있었는데, 형은 돈만 있으면 매일 맥주를 사서 마셨고, 동생은 착실히 돈을 모았습니다.
그런데 전쟁이 끝나고 보니 동생의 돈은 휴지가 되어 있었고, 형은 마당에 빈병이 남아
그런대로 자산가치를 확보할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나의 풍자이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현실감이
전혀 떨어진다고는 장담할수 없습니다.
1천페이지가 넘는 맨큐의 경제학에는 "자본주의"라는 말이 딱 한번 나온다고 합니다.
이렇듯 우리가 살고있는 현재의 경제에서 "자본주의"는 정의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특히 "신용(빚)"과 관련된 부분은 매우 어렵기도 하지만, 참 재밌는 얘기가 많습니다. ... 더구나 오늘날
파생시장과 연계된 신용(빚) 얘기를 해보면 정말 재밌습니다. .... 그래서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관련해서
그당시 월가가 신용을 어떻게 창출했는지에 대해 아주 ~ 아주 간단한 사례 하나만 얘기해 봅니다.
다음은 A은행이 고객들에게 아파트 담보대출을 해준 내역 입니다
(1) 동건(치과 전문의) = 아파트 담보대출 2억원 - 상환만기 5년(60 개월)
(2) 영희(대기업 사원) = 아파트 담보대출 1억원 - 상환만기 5년(60 개월)
(3) 철수(편의점 운영) = 아파트 담보대출 7천만원 - 상환만기 10년(120 개월)
(4) 수희(중소기업 비정규직) = 아파트 담보대출 8천만원 - 상환만기 20년(240 개월)
(5) 영철(청소용역 근로자) = 아파트 담보대출 5천만원 - 상환만기 20년(240 개월)
따라서 A은행의 현재 아파트 담보대출 규모는 총 5억원 입니다. 하지만
각각의 상환만기와 소득수준 등 여러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채권마다 조금씩 위험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동건과 영희는 상환만기도 짧지만 나름대로 직업의 안정성과 소득이 보장되기 때문에
채권이 모두 상환되는데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 그러나 수희와 영철은
상환만기가 무려 20년이나 되고 소득 안정성도 불안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현재 부동산시장 상황이 매우 좋아서 A은행에 계속해서 고객이 밀려들고 있는 상황입니다!(부동산 호황)
그래서 A은행은 자금조달을 위해(더 많은 대출을 하기위해), 위 (1)~(5) 고객의 대출채권(모기지)을 모두
K투자은행(IB)에게 매각했습니다 ... 그리고 투자은행 K는 (1)~(5) 의 대출채권을 모아서
하나의 풀(Pool)을 만든뒤 ... 이것을 100 개의 지분으로 잘개 쪼개는 작업을 합니다
이제 5개의 모기지채권은 순식간에 100 개의 지분(상품)으로 나눠지고
투자은행 K는 이것을 (전세계)또다른 투자은행이나 보험사, 헤지펀드 등에 판매합니다 ... 다만
여기서 100개의 지분(상품)은 모두 동일한 조건의 상품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 보통 상환 만기의 조건에 따라 이자율이 다른데,
만약 K투자은행이 만든 100개의 상품(지분) 중에 어떤 상품은 이자율이 5% 짜리이고, 어떤 상품은 10%,
또 어 떤 상품은 이자율이 15% 입니다. 따라서 K투자은행이 만든 100개의 상품 이자율은 5% ~ 15% 사이에 있습니다.
이때 M헤지펀드가 이자율이 가장 낮은 5% 수준의 상품을 10개 구입했다면
M헤지펀드가 구입한 지분은 주로 (1)동건, (2)영희의 지분으로 구성되어 있을겁니다.
가장 안전한 모기지채권 이기 때문이고 상환도 빠르기 때문에 이자율도 그만큼 낮은 수준인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M헤지펀드가 구입한 지분10개에는 (4)~(5)의 위험이 높은 모기지채권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최초의 모기지채권 ... 즉! (4)수희 고객과, (5)영철 고객이 중간에 대출금 상환을 못하고 연체를 하거나 파산을 신청하게 된다면
M헤지펀드가 구입한 10개의 지분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그래서 M헤지펀드는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대형 보험사인 AIG와 또 다른 거래를 합니다.
[M헤지펀드]: "AIG야! ~ 내가 K가 판매하는 CDO(부채담보부증권)를 몇개 구입했는데 좀 불안하다!"
[AIG]: "그러냐! ~ 그럼 나한테 보험료 좀만 내라 그러면, 니가 구입한 상품에 문제가 생겼을때 내가 다 보상해 줄께!"
[M헤지펀드]: "오! ~ 좋은데! ~ 그런데 그 보험상품 이름이 뭐냐?"
[AIG]: "CDS(신용부도스왑)!"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 전세계에 엄청난 구조화(금융)상품이 판매되었습니다.
최초 A은행이 집(부동산)을 구입하려는 사람에게 대출을 해주었는데, 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맞자 ~ A은행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많은 대출을 해주기위해 그 대출채권을 모아 다른 금융기관에 판매하였고, 판매한 돈으로 다시 대출을 하면서
나중에는 더이상 대출해줄 사람이 없어지자, 일용직이나 거리의 노숙자 같은 대상들에게까지 대출을 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서브프라임론" 입니다. (위험이 적은 일반 직장인 대출은 그냥 '프라임론'이라 함!) ~ 결론적으로
< A은행 - K투자은행 - M헤지펀드 - AIG(보험회사) - 전세계 금융기관 > 연쇄적 연결고리가 이어져있었기 때문에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의 위기는 전세계로 퍼진것입니다.
( => 원래 상당히 복잡한 내용인데 제가 상당히 압축하여 아주 단순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이렇듯 오늘날 신용창출은 한 나라의 정부와 중앙은행의 발권력에만 그 권한이 있는것이 아니라
간접적이긴 하지만, 민간 금융기관의 구조화금융같은 첨단파생상품에 의해서도 신용이 창출될수 있는
아주 ~ 아주 무시한 시대라 할수 있습니다.
무역과 관련되 선물환 및 스왑거래 등 여러 파생 이야기를 좀더 깊게 파고들어가면 정말 재밌는얘기가 많습니다
하지만 얘기가 길어지니 이쯤에서 끝냅니다.(기회가 있다면 다음에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